개발/ElasticSearch
ElasticSearch 실무구축에 필요한 간단정리(1)
숭늉.K
2019. 12. 10. 16:18
<용어 및 개념정리>
<그림1 - 개념도>
- 클러스터(Cluster)
- 한개 이상의 노드로 이루어진 ElasticSearch의 가장 큰 단위
- 노드(Node)
- 하나의 프로세스 단위. 기본적으로는 1서버-1노드라고 보면되지만, 상황에 따라
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노드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.
- Node는 용도에 따라 Master, Data, Coordinated, Injest 등의 역할로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.
- 인덱스(Index)
- 데이터의 집합. RDB의 경우 table과 비슷한 개념.
- 목적에 따라 다양한 설정의 인덱스를 생성할 수 있다.
- 샤드(Shard)
- 인덱스가 물리적단위로 쪼개어진 조각, 실제로 Document가 저장되는 공간.
- 인덱스가 생성될 때 샤드 수를 지정한다.
- 한번 지정되어 생성된 샤드 수는 변경할 수 없다.
- Shard는 Replica(복제본)을 가질 수 가 있다.
- Replica의 수는 변경가능하다.
- 색인(Indexing)
- 색인(인덱싱) : 위의 인덱스(Index)와 용어가 겹친다. ex) 데이터를 Index에 Indexing 한다.
- ElasticSearch에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용어.